휠라 홀딩스 기업분석, 주가 상승? 하락?
본문 바로가기
기업분석

휠라 홀딩스 기업분석, 주가 상승? 하락?

by 투자ob 2023. 12. 4.

 

1. 기업개요

 

휠라 홀딩스는 2005년 mbo 방식을 통해 FILA 글로벌그룹으로부터 독립했습니다. 

2007년에는  lbo방식으로 FILA글로벌 상표권 및 사업권을 인수하여 전 세계 라이선스를 통해 로열티를 수취하고 있습니다.

 

2020년 1월 1일 자회사 휠라코리아를 신설하고 지주회사로 전환하며 사명을 휠라홀딩스로 변경했습니다.

지주회사로서 휠라홀딩스의 수입원은 배당, 자문료수익등이 있습니다.

 

2. 사업구조

 

휠라 홀딩스는 FILA와 ACUSHNET두 사업부문을 중심으로 회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FILA 사업부문은 한국, 북미, 말레이시아에 브랜드사업을 직접 전개합니다.

또한 FILA의 상표권을 토대로 라이선스 사업을 영위합니다.

 

ACUSHNET 사업부문은 골프 전문 브랜드인 'Titleist'를 포함, 'FootJoy', 'Pinnacle', 'Vokey', 'PG Golf', 'KJUS', 'Links&Kings', 'Club Glove' 등 골프와 관련된 여러 브랜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매출비중을 살펴보면 골프 관련  ACUSHNET 사업부문에서 큰 비중의 매출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가별 매출(34기 3분기 기준)은 한국이 16%, 한국외 지역이 83%의 비율을 구성합니다.

 

ACUSHNET사업부문의 경우는 미국 57%, 유럽 및 중동 13%, 일본 6%, 한국 12%, 기타 11%를 구성합니다.

 

3. 재무분석

 

재무는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비유동부채의 경우 2/3 이상이 무형자산으로 라이선스, 특허 등의 가치가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4. 사업현황

 

휠라홀딩스의 경우 3분기 연결매출과 영업이익이 8%, 24% 감소했습니다.

 

FILA 사업부문의 경우 국내매출이 -39%, 미국매출이 -47% 기록하며, 휠라 그룹매출이 35% 감소했습니다.

다만, Acushnet 사업부문에서 매출 6% 증가로 전체 실적을 견인하였습니다.

 

 

현재 FILA 사업부문은 국내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진행 중이며,

미국사업은 재고소진에 집중하며 매출하락과 영업이익 하락이 큰 폭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FILA 사업부문에서 2개 분기 연속으로 적자를 기록하는 상황임으로 이를 타개할 변화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